[ 이전 ] [ 차례 ] [ 1 ] [ 2 ] [ 3 ] [ 4 ] [ A ] [ 다음 ]
데비안 0.01에서 0.90까지 (1993년 8월부터 12월까지)
데비안 0.91 (1994년 1월): 이 릴리즈는 패키지를 지우고 설치할 수 있는 단순한 패키지 시스템을 포함한다. 이 시점에서는 수십명의 개발자들이 참여하는 프로젝트였다.
데비안 0.93R5 (1995년 3월): 각 패키지에 대한 책임은 각각의
개발자에게 돌아갔고 패키지 관리자(dpkg
)를
이용해서 기본 시스템을 설치한 후에 새로운 패키지를
설치한다.
데비안 0.93R6 (1995년 11월): dselect
가 등장했다. 이
릴리즈가 마지막 a.out 데비안 릴리즈였다; 대략 60명의
개발자가 있었다. 첫번째 master.debian.org 서버가
0.93R6릴리즈와 함께 나오게 되었다.
데비안 1.1 버즈(Buzz) (1996년 6월): 코드명을 갖는 처음의 데비안 릴리즈였다. 다른 릴리즈와도 마찬가지겠지만 이 코드명은 영화 Toy Story에 나오는 캐릭터인 Buzz Lightyear에서 가지고 온 것이다. 이때에 Bruce Perens는 Ian Murdock에게서 프로젝트를 넘겨 받았고 그 당시 Perens는 토이스토리 영화를 만든 Pixar에서 일하고 있었다. 이 릴리즈는 리눅스 커널 2.0에서 사용한 완전한 ELF를 사용하였고 474개의 패키지를 포함하였다.
데비안 1.2 렉스(Rex) (1996년 12월): 이 코드명은 영화의 플라스틱 공룡에서 따왔다. 848 패키지와 120명의 개발자가 모였다.
데비안 1.3 보(Bo) (1997년 7월): Bo Peep에서 따온 이름이다. 974개의 패키지와 200명의 개발자들이 참여했다.
데비안 2.0 햄(Hamm) (1998년 7월): 돼지저금통에서 이름을 따왔다. 모토롤라 68000 시리즈 구조에대한 지원을 했다. 이번 릴리즈는 Ian Jackson이 프로젝트 리더일 때 나온 것으로 libc6로 넘어갈 시기였다. 그리고 1500개가 넘는 패키지와 400명의 개발자가 동참하였다.
데비안 2.1 슬링크(Slink) (1999년 3월 9일): 알파
와 스팍
을 공식적으로
지원하는 데비안 릴리즈. 프로젝트 리더가 Wichert
Akkerman으로 바뀌었고 2250개의 패키지들이 2장의 공식 시디에
담겨나왔고 apt
인 새로운 패키지 관리
인터페이스를 포함하였다.
데비안 2.2 Potato (2000년 8월 15일): 영화에 나오는
"미스터 포테이토"에서 가져온 이름이다. 지원
아키텍처는 PowerPC
와 ARM
가 늘어났다.
위커드가 프로젝트 리더였기 때문에 이번 릴리즈는 2600개가
넘는 소스패키지를 포함하고 있고 450명이 넘는 패키지
관리자가 작업했다.
데비안 3.0 우디 (2002년 7월 19일): 이름은
"우디" 목동소년 에서 가져왔다. 더많은 아키텍처에
대한 지원이 늘어났다: IA-64
, HP PA-RISC
, MIPS (big endian)
, MIPS (little endian)
와
S/390
.
미국안에서 수출규제 때문에 문제가 된 암호화 관련
소프트웨어 를 포함하는 첫번째 릴리즈였고 여기에는 KDE를
처음 포함시켰는데 현재 QT와 관련되 라이센스 문제는
해결되었다. 브데일 가비가 리더가 된 뒤로 900명이 넘는
개발자가 작업을 했고 8500개가 넘는 바이너리 패키지와
7개의 바이너리 CD 모음이 포함 되었다.
[ 이전 ] [ 차례 ] [ 1 ] [ 2 ] [ 3 ] [ 4 ] [ A ] [ 다음 ]
데비안 역사
2.5 (2004년 9월 6일 마지막 개정)mailto:debian-doc@lists.debian.org
mailto:yooseong@debian.org